Acheive Your ESG Goal With Morning Zettelkasten!

“Morning Zettelkasten”은 ESG 지속가능성 분야에 "딥 큐레이터(Deep-Curator)"로서 여러분께 진정성있고 가치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Morning Zettelkasten Curation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68

ESG Regulation Briefings_'25.07-W4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지속가능 금융, 규제 유연화, 기후 공시 리스크 등 글로벌 ESG 흐름이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이번 주(7월 4주차) 핵심 이슈를 정리해드립니다.1. SBTi, 금융기관 전용 넷제로 기준(FINZ) 첫 공개📌 원문 보기SBTi(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가 드디어 금융기관을 위한 넷제로 표준(Financial Institutions Net-Zero Standard, FINZ) 을 공식 발표했습니다.기존의 기업 넷제로 표준(2021)을 금융 업권에 맞춰 확장한 최초 국제 기준포트폴리오 단위 정렬 목표(climate alignment target) 와 금융 배출량 기반 감축 경로(financed emissions pathway) 를 ..

SBTi 인증 없는 전기차, 英 보조금 대상서 제외된다?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얼마 전 주목할 만한 뉴스가 하나 있었습니다. 영국 정부가 2025년부터 시행하는 ‘그린 자동차 보조금 제도(Electric Car Grant, ECG)’에서, SBTi 승인을 받지 않은 기업은 보조금을 받을 수 없도록 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정책의 직격탄을 맞게 된 곳 중 하나는 현대차와 기아입니다.영국은 전기차 구매를 장려하고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새로운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전기차 구매자에게 최대 3,750파운드(한화 약 64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또한, 보조금 지급 조건으로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승인을 요구하고 있어, 국내..

ESG Regulation Briefings_'25.07-W3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이번 주에는 EU 및 GRI 관련 주요 ESG 뉴스가 나왔습니다. EU 집행위는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의 대기업 일부 공시 의무를 2년간 연기하는 ‘Quick Fix’ 수정안을 채택했습니다. 이로써 2024년부터 ESG 보고를 시작한 ‘웨이브 1’ 대기업(500명 이상)은 생물다양성, 공급망 근로자, Scope 3 배출량 등 일부 신규 보고 항목에 대해 2026년까지 공시를 유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편 EU 옴부즈만 "Teresa Anjinho"는 이 과정에서 영향평가, 공개 협의, 기후일관성 검토 등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또한 GRI는 섬유·의류 산업을 위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초안을 공개하며 기후..

GRI, 섬유·의류 산업 ESG 공시 초안 공개 : 공급망 실무 대응 중요성↑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GRI)는 2025년 7월 섬유·의류·신발 산업을 위한 새로운 섹터 표준(초안)을 공개했습니다. 세계 섬유패션 공급망은 복잡·분산되어 있어 노동인권, 환경오염, 탄소배출 등 다양한 부정적 영향이 존재합니다. GRI는 “섬유·의류 분야는 필수 소비재를 제공하지만, 공급망의 복잡성으로 인해 투명성 부족과 추적 어려움이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수질오염·유해화학물질·과도한 노동시간·성차별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섬유·의류 산업부문 ESG 공시 기준 초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초안은 산업 전반의 ESG 공시 품질 향상과 보고서 비교가능성 확보가 목적이며, 지금부터 2025년 9월 28일까지 글로벌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안..

[2024 Year-End Insights] 글로벌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규제, EU CSDDD Regulation - 1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2025년이 다가옴에 따라 올 한해에도 ESG 지속가능성 분야에 "딥 큐레이터(Deep-Curator)"로서 여러분께 진정성있고 가치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여정에 참여해주신 독자, 전문가 여러분 모두에게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다가오는 2025년 기업 지속가능 경영전략 "Risk Management" 영역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EU ESG 규제 중, "EU 공급망 실사법(CS3D)"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로벌 ESG 규제 동향, 기업이 꼭 알아야 할 4가지 EU ESG 규제 최근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라 자국 중심주의가 강화되고 있고, 선진국들이 보호무..

탄소중립법 헌법불합치

안녕하세요.Morning Zettelkasten입니다. 2020년 3월 청소년들이 처음 제기한 아시아 최초의 '기후 헌법소원' 결정이 4년 5개월만인 지난 8월 29일 일부 헌법에 어긋난다는 판결이 선고되었습니다. 이번 헌법불합치 판결은 국가가 2031년부터 2049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워두지 않은 현행 탄소중립기본법이 헌법에 불합치한다는 결정이었습니다. 탄소중립기본법 8조 1항에서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35% 이상의 범위에서 감축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2031년부터 2049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우지 않은 것이 과소보호금지원칙과 법률유보원칙을 위반했기 때문에 내린 결정입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정부와 국회는 2026년 2월 28일까지 2..

Reading Spectrum 2024.09.18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2호 기후공시 Part 2

안녕하세요.Morningzettelkasten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2호 기후공시 Part 1 포스팅에 이어 핵심요소 4. 지표 및 목표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요구사항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결 실체로의 세분화 공시와 측정방법별 세분화 공시 등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2호 기후공시에서 안내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요구사항에 대해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1호 일반사항]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서 제1호 기준서 구성 주요 5대 개념적 기반 일반요구사항 및 ISSB 국제 기준과의 비교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1호 일반사항안녕하세요.Morningzettelk..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2호 기후공시 Part 1

안녕하세요.Morningzettelkasten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1호 일반사항 포스팅에 이어 제2호 기후공시 관련사항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2호 기후공시 포스팅은 Part 1과 Part 2로 나누어 Part 1에서는 기준서 구성 및 핵심요소 1. 거버넌스 ~ 3. 위험관리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Part 2에서는 핵심요소 4. 지표 및 목표의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요구사항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뤄보았습니다.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1호 일반사항]지속가능성 공시기준서 제1호 기준서 구성주요 5대 개념적 기반일반요구사항 및 ISSB 국제 기준과의 비교 KAI Forum : 지속가..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제1호 일반사항

안녕하세요.Morningzettelkasten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개요 포스팅에 이어 제1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사항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개요안녕하세요.Morningzettelkasten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지난 5월 16일 진행된 '한국 지속가능성 공기기준 공개초안' KAI Forum에서 언급된 주요 내용과 특히, 제2호 기후 관견 공시사항의 주morningzettelkasten.com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서 제1호 : 기준서 구성 제1호의 구성은 본문과 부록으로 나뉘며, 본문은 지속가능성 재무정보를 공시할 때 적용되는 개념과 일..

KAI Forum :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개요

안녕하세요.Morningzettelkasten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지난 5월 16일 진행된 '한국 지속가능성 공기기준 공개초안' KAI Forum에서 언급된 주요 내용과 특히, 제2호 기후 관견 공시사항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SSB,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공개('24.04.30) 국내의 경우, 지난 4월 30일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는 다음 세가지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을 발표했습니다.(~2024년 8월 31일(토)까지 의견 개진 가능)제1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사항’ 공개초안제2호 ‘기후 관련 공시사항’ 공개초안제101호 ‘정책목적을 고려한 추가 공시사항’ 공개초안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 Scop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