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heive Your ESG Goal With Morning Zettelkasten!

“Morning Zettelkasten”은 ESG 지속가능성 분야에 "딥 큐레이터(Deep-Curator)"로서 여러분께 진정성있고 가치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Morning Zettelkasten Curation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68

ADIEU 2023! HELLO 2024!

여러분 안녕하세요. morningzettelkasten입니다. 이번 글은 뜻깊었던 2023년을 마무리하기 위해 여러분들과 함께 지난 1년을 정리하고 새로운 2024년도를 맞이하기 위해 긴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의 ADIEU 2023년의 하이라이트(Highlight)는 무엇이었나요? 그리고 다가오는 HELLOW 2024년에는 어떤 한 해를 보내고 싶으신가요? 2023년 Key-Word : 사이드프로젝트(Sideproject) 2023년도 저에게 있어 가장 큰 Key-Word는 바로 "사이드프로젝트(Sideproject)"였습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사이드프로젝트(Sideproject)라는 용어를 알고 계신가요? 사이드 프로젝트(Sideproject) 란 생업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비공식적인 ..

Mindset 101 2023.12.26

Scope 3 Category 정의서_Category 3. Fuel and Energy Related Activities Calculating Methods

Category 3. Fuel- and Energy-Related ActivitiesNot Included in Scope 1 or Scope 2 Category Category 3 "Fuel and Energy Related Activities Not Included in Scope 1 or Scope 2 Category"는 Scope 1&2에 포함되지 않는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하며, Electricity Value Chain에 따른 활동 구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Category 3 에너지 관련 활동별 4가지 Case 분류 지난 Scope 3 Category 3 온실가스 배출량 개념 및 "Electricity Value Chain"에 따른 배출량 산정 ..

Scope 3 Category 정의서_Category 3. Fuel and Energy Related Activities Category Description & Activities

Category 3. Fuel- and Energy-Related ActivitiesNot Included in Scope 1 or Scope 2 Category Category 3 "Fuel and Energy Related Activities Not Included in Scope 1 or Scope 2 Category"는 Scope 1&2에 포함되지 않는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하며, Electricity Value Chain에 따른 활동 구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에너지 관련 활동의 Scope 분류 "Corporate Value Chain (Scope 3) Accounting and Reporting Standard"에 따른 “Category 3. Sc..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Series 1]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들의 기후 리스크 테스트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글로벌 중앙은행 및 최근 한국은행에서도 국내 금융기관들의 기후리스크 평가를 위한 통합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Climate Stress Test)를 수행한 바 있으며, 한국금감원은 이행 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를 모두 평가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개발 및 스트레스테스트를 국내 은행 및 보험사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국제기구로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규명과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IPCC는 지구 평균온도가 2..

Scope 3 Category별 산출 방법론과 산정 정확도

공급망의 범위와 Scope 3 Category의 분류 GHG(Greenhouse Gas) 프로토콜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보고에 관한 파트너십으로 온실가스 회계처리 및 보고 기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cope 3와 관련된 방법론으로는 “Scope 3 온실가스 회계처리 보고기준(Scope 3 GHG Protocol Accounting and Standard)”이 존재합니다. GHG 프로토콜 Scope 3 15개 카테고리별 설명 IFRS재단의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위원회’(ISSB)에서 지난해 3월 발표한 S2(기후관련정보공시)와 SEC의 기후관련 공시 의무화규정안은 모두 Scope 3의 공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ISSB의 IFRS S2 morningzettelkasten.co..

The EU's Blade in the Fast-Fashion Industry: Adoption of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for Apparel Waste Disposal

In today's rapidly changing world, the fast-fashion industry has gained immense popularity. However, beneath the surface of affordable clothing and quick style changes lies a dark secret.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is industry is significant. In an effort to address the growing environmental impact associated with the fast-fashion industry, the European Union (EU) announced on the 5th of last..

ESG Insight 2023.07.11

패스트 패션(fast-fashion) 업계로 향한 EU의 칼날: 의류 폐기물 처리에 대한 생산자책임제도(EPR) 채택

트렌드가 눈 깜짝할 사이에 바뀌는 오늘날의 급변하는 세상에서 패스트 패션(fast-fashion) 산업은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렴한 의류와 빠른 스타일 수정의 표면 아래에는 어두운 비밀이 있습니다. 이 산업의 환경 영향은 엄청납니다. 이러한 패스트 패션(fast-fashion) 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커지고 있는 환경 영향을 막고자 EU 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섬유 폐기물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지원하고 섬유 제품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책임을 생산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채택한다고 지난 5일 발표했습니다. EU 위원회에 따르면 섬유 소비는 음식, 주택, 교통수단 다음 네 번째로 기후 변화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수질과 토양 ..

ESG Insight 2023.07.11

Scope 3 Category 정의서_Category 1. Purchased Goods and Services

Category 1. Purchased Goods and Services Category 1 “Purchased Goods and Services”는 구매한 원자재로 인한 온실가스 발생량을 의미하며, 중요 개념인 “Cradle-to-Gate(생산부터 출고까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정의 보고기업이 보고 대상 연도에 구매·취득한 모든 제품 및 서비스의 채취, 제조, 운송 시의 배출량을 의미합니다.(Category 2 ~ 8에 포함되는 것 제외) 자사가 구입・취득한 원재료, 중간 제품, 최종 제품(매입 상품을 포함한다) 자사가 구입・취득한 소프트웨어 등의 서비스 직접 조달(사업자의 제품 제조에 직접 관계하는 물품 등) 외에도 간접 조달(제품의 제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물품·서비스)도 포함됩니..

ISSB, SASB 표준의 국제적 적용 가능성 향상을 위한 SASB 지표 약 20% 개정 프로젝트 착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향후 2년 간 제정할 새 공시기준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4개월 간 여론 수렴 절차에 들어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다룬 ‘S3’, ‘S4’ 등으로 불릴 추가적인 공시기준 제정 계획과 함께 ESG공시와 재무공시와의 통합 문제, 기후공시 보완할 SASB 기준 개정 등의 사항이 주요 연구 과제로 선정되었습니다. 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S3,S4...추가 예정, 생물다양성 생태계, 인적자원관리, 공급망 인권 등의 다가오는 6월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

I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S3,S4...추가 예정, 생물다양성 생태계, 인적자원관리, 공급망 인권 등의 중요성 확대 예정

다가오는 6월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와 더불어 ISSB는 앞으로 2년간 ‘S3’, ‘S4’, ‘S5’ 등으로 불릴 추가적인 공시기준을 만들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S3’, ‘S4’ 등 추가적으로 연계하여 공시안을 만들 주된 담론은 ① 생물다양성, 생태계와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 ② 인적자원, ③ 밸류체인의 인권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I..

반응형